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TSMC 2026년 실적 전망, AI 수요와 가격 인상으로 날개 다나

by 열매부부 2025. 7. 17.

TSMC 2026년 실적 전망은 AI 가속기 수요 증가와 웨이퍼 가격 인상, 첨단 공정 확대에 힘입어 연간 매출 성장률이 USD 기준 19%에 이를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대만달러 강세와 초기 공정 비용은 수익성의 변수로 지목됩니다.

TSMC, AI 수요 중심의 매출 구조 강화

TSMC는 2025년 2분기 실적에서 NT$9,340억이라는 분기 매출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39% 성장이라는 인상적인 성과를 보였습니다. AI 반도체에 대한 글로벌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TSMC의 N3, N4/N5 공정 가동률은 100%를 상회하고 있으며, 구세대 노드 또한 양호한 가동률을 유지 중입니다. 이는 관세 이슈로 인해 선주문 수요가 몰렸기 때문인데, 결과적으로 평균 판매 단가(ASP)의 상승을 유도했고, 영업이익률은 57~59%에 수렴하며 수익성까지 확보한 안정적인 실적을 만들어냈습니다. 특히 JP모건은 AI 관련 수요가 N3P, N3X로 빠르게 전환될 것으로 보며, TSMC의 실적 성장 축이 기존 모바일 중심에서 고성능 연산, AI 특화 제품군으로 본격 이동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이러한 트렌드는 AI 시장이 반도체 산업의 중심축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점에서 전략적으로 매우 의미가 큽니다.

 

웨이퍼 가격 인상과 N2 고객 확대가 핵심

TSMC의 2026년 연간 실적은 USD 기준 19%, TWD 기준 14%의 매출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JP모건은 이번 보고서에서 웨이퍼 평균 판매 단가(ASP)가 전년 대비 약 12% 이상 상승할 것으로 예측했는데, 특히 리딩엣지 노드에서의 가격 인상이 6~10%에 이를 전망입니다. ASP 상승 외에도 고객사들의 첨단 공정 채택 확대가 매출 견인을 강화할 예정입니다. 애플, AMD, 인텔, 미디어텍, 브로드컴, 퀄컴 등 TSMC의 핵심 고객사들은 2026년 하반기부터 N2 공정으로 본격 전환하며 수요 확대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미국 아리조나 Fab 2단계 증설과 대만 신주, 가오슝 지역의 N2 공정 투자도 병행되며, 2026년 CAPEX는 전년 대비 13% 증가한 450억 달러 수준으로 집계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이러한 대규모 투자는 단기적으로 수익성을 희석할 수 있으며, JP모건은 대만달러 강세 지속 시 영업이익률이 Flat(변동 없음) 수준에 머물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TSMC 주가 전망과 투자 리스크 요인

최근 TSMC 주가는 AI 성장 기대감과 함께 상승 흐름을 보였지만, 단기적으로는 박스권에서 움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보고서는 반도체 관세 관련 불확실성과 TWD 강세가 TSMC 수익성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미국의 Section 232 반도체 조사가 진행 중인 상황에서, TSMC가 향후 북미 수출에 있어 예기치 못한 규제 리스크에 직면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중장기적으로는 AI 가속기 수요의 구조적 확대가 TSMC의 실적 성장 기반을 더욱 탄탄하게 만들 것이라는 데에 이견이 없습니다. 2026년 하반기부터 본격화되는 N2 공정의 수요 증가, 고객 다변화 전략, 고부가 제품군 집중 전략 등이 시너지를 낼 경우 주가에 추가 상승 여력이 존재합니다. JP모건은 TSMC가 수익성과 성장성을 모두 갖춘 드문 반도체 기업이며, 변동성 구간에서도 전략적 분할 매수가 유효할 수 있다고 제언했습니다.

TSMC로고
TSMC